보건교육은 교육보다는 보건에 강조점이 있다.
보건교육에서 교육은 보건교육의 형식과 방법에 대한 부문이지만 보건은 보건교육의 목표와 방법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인간이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변화를 시켜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의 학교보건 교육 용어제정위원회가 정의한 바로 보건교육은 개인이나 집단의 건강과 관계되는 지식, 태도, 행동에 영향을 미칠 목적으로 학습경험을 베풀어주는 과정이라 하였다.
WHO에서는 보건교육은 광의로 볼 때는 건강에 관한 신념, 태도, 행동에 영향을 주는 개인, 집단, 지역에서의 모든 경험, 노력, 과정을 말하는 것으로 협의로 보면 위에서 기술한 계획된 경험, 노력,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즉 보건교육은 건강에 관한 지식을 교육이라는 과정을 통하여 개인 또는 집단을 건강한 행동양식으로 변화시키는 실천 과학이며 동시에 조절적인 문화운동이라 할 수 있겠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보건교육사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보건교육은 잘못되어 있는 지식, 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주어 이를 새롭게 올바른 양상으로 바꾸어 놓은 것이다.
WHO에서는 보건교육의 일반적 목적을 세 가지로 설정하였는데 먼저 사람들이 건강한 생활양식을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조장하는 것,
둘째로 그들에게 이용 가능한 지역사회 보건의료서비스를 슬기롭고 지혜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
마지막으로 그들의 건강 상태와 환경을 개선하는 데 개인적으론 집단으로 그들이 의사결정을 잘하도록 개발시켜 주는 것이다.
보건교육은 실시하는 주체가 대상자의 여건에 적절한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보건교육 대상자들의 보건적 욕구와 문제의 실상을 사전에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것이며, 보건 교육의 목표, 실시 시기, 교육 방법 등에 관한 사항을 계획에 포함해야 한다.
보건교육이 계획과 추진의 지침이 되는 원칙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보건교육은 전체 보건사업의 일부로서 처음부터 계획되어야 하며 사전 지역사회 진단이 필요하고 계획에 주민들이 참여하여야 한다. 또한 지도자를 선출하여 지역개업의 및 공공기관의 협조를 얻도록 하고 뚜렷한 목표를 세워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야 한다. 시범사업으로부터 시작해 점점 확대해 나갈 것이며 모든 보건 요원은 팀의 일원으로서 역할을 해야 한다. 끝으로 보건교육에도 예산의 뒷받침해야 한다.
보건교육의 평가는 사업의 처음부터 끝날 때까지 행해진다.
보건교육을 하기 전 계획평가라 하여 사전평가를 하는데 이는 사업계획 자체가 문제를 해결하는데 효과를 얻을 수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보건교육을 효율적으로 능률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육 대상의 유형, 인원수, 교육 정도, 생활 수준, 흥미, 욕구 등의 예비지식을 갖추어야 하고 교육 장소의 크기, 청각 기재 설치 등의 사전 조사가 필요하다.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한 매체의 선정과 사용 방법, 매체에 대한 피교육자의 흥미 등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보건교육을 위한 방법은 보건교육을 받을 대상의 수에 따라 개별 접촉 방법, 집단접촉 방법, 대중접촉 방법 등이 있고, 보건교육을 담당하는 교육자 측에서 볼 때는 일방적 보고 교육 방법, 왕래식 보건교육 방법, 절충식 보건교육 방법이 있다.
개인 접촉 방법은 보건사업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 일상생활에서 광범위하게 실시된다. 노인층이나 저소득층에 적합한 방법으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된다는 점에서 비경제적인 방법이라 볼 수 있다. 기 방법은 개인의 비밀에 속하는 건강 문제의 해결 상담과 죄악시하는 문제를 교육하거나 해결할 목적이 있을 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단 접촉 방법은 일정한 인원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방법으로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실천을 유발하는 데 효과가 있다. 단체활동을 통해서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들에는 브레인스토밍법, 심포지엄, 배심토의, 분단 토의가 있는데 브레인스토밍은 특별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체의 협동적 토의 방법으로 번개처럼 떠오르는 기발한 생각을 잘 포착해 낸다는 뜻이다. 심포지엄은 동일한 주제에 대해 전문적 지식을 가진 사람을 몇 사람만 초청하여 주제에 대한 의견을 발표하도록 한 수 발표된 내용을 중심으로 사회자는 마지막 토의 시간을 마련하여 문제 해결에 임하는 방법이다. 배심 토의는 단상 토의라고도 하며 어떤 주제에 대해 대립하거나 다양한 견해를 가진 토의자 3~4명이 배심원이 되어 의장의 안내에 따라 토의를 진행하는 방식이다. 분단토의는 대상 전체가 토의하기 어려울 때 소집단으로 나누어 토의하는 방법이다. 연극적 활동을 통한 보건교육도 있는데 역할극이나 사회극, 모의 실험극이 이에 속한다.
대중접촉 방법은 특정 집단이나 무제한의 대중을 위한 교육 방법으로 대중매체가 이용된다.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다수를 대상으로 실시한다는 점에서 능률적이라 볼 수도 있지만 개인 접촉이나 집단접촉에 비하면 덜 효과적이다.
보건교육의 평가는 명확한 목적 아래 시행되어야 하고, 평가는 계속하여 시행되어야 하며 측정하는 기준이 명시되어야 한다. 또한 그 결과들이 사업의 진보와 성장을 위하여 반영되어야 할 것이며, 가능한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장단점을 지적하여야 한다. 평가는 습득의 경험자료로 활용되어야 하고 평가 결과 보고서는 누구든지 알 수 있기 쉽게 사용되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평가는 계획평가, 진행평가, 결과 평가가 수행되어야 한다.
출처 - 「공중보건학」-권명진 외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