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보건이란 모든 직업의 근로자들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최상의 안녕 상태를 유지, 증진하기 위하여 작업조건으로 인한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에 유해한 작업조건으로부터 근로자들을 보호하여 그들을 정서적으로나 생리적으로 알맞은 작업조건에서 일하도록 배치하는 것이다.
산업보건의 목적은 산업기술이 요구하는 노동조건을 가능한 한 인간에게 적합하도록 방책을 강구하여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 증진하여 노동생산성을 향상하게 하는 것이다. 산업보건에서 다루어야 할 기초는 작업환경의 정비, 산업의 합리화, 산업 심리 근로자의 영양 관리, 여성과 소년 근로자의 보호, 산업 피로와 산업재해 대책, 직업병 관리와 공업중독대책, 보호구 문제, 근로자 보건 관리 등이라 할 수 있다.
산업보건의 분야는 산업의 다양화와 그 인접 학문의 다양화 등으로 많은 분야가 있는데 그중 공중보건 분야와 관련된 분야는 산업의학, 산업 위생학 인간공학, 산업 간호학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안전공학, 인류생태학, 역학 및 통계학 등 여러 분야의 학문 또한 중요하다 할 것이다.
산업보건 관리 부분은 먼저 산업장 환경관리를 해야 하는데 근로자의 건강 유지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고려되어야 한다.
먼저 공장의 입지 조건은 안전화 보건상 문제에 대빟여 공해방지대책이 있어야 할 것이며 근로 능력 문제 해결방안과 생산성 향상 문제 해결 방안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폐기물처리시설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복지후생시설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고 작업환경에 따른 유해 원인 등이 없어야 할 것이다.
근로자의 건강은 물론 안전사고의 예방과 산업의 능률 향상을 가져오도록 하기 위해서는 산업환경의 관리와 더불어 근로자의 건강관리 또한 중요하다. 근래에 들어서는 근로자의 정신건강 또한 중요시 생각한다. 근로자의 영양 관리는 근로자의 작업 종류에 따라 고려돼야 하는데 고온 작업자는 식염, 비타민A, 비타민B1, 비타민C가 있어야 하고 저온 작업자는 지방질, 비타민A, 비타민B1, 비타민C, 비타민D가 있어야 한다. 소음작업자는 비타민 B1이 필요하고, 강노동자는 비타민류, 칼슘 강화식품이 있어야 한다. 산업 피로는 노동 부하에 반응하는 생체의 태도인데 이는 질병이라기보단 경고반응이라 할 수 있다. 산업 피로는 정신적 피로와 육체적 피로, 보통 피로, 과로 및 곤비로 나눌 수 있는데 정신적 피로는 중추신경계의 피로를 말하며 육체적 피로는 주로 근육의 피로를 말한다.
산업재해는 생산 현장에서 우발적으로 발생하는 사고 및 제품의 결함이나 물질을 유출로 인하여 인적, 물리적 손해를 당하는 것을 말한다. 산업재해의 원인은 인적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인적요인은 다시 관리상원인, 생리적 원인, 심리적 원인으로 분류된다. 환경적 요인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기혜적 요인으로 1차 원인이라 부르기도 한다. 산업재해는 정도별, 상해별로 분류된다.
직업병이란 그 직종이 갈고 있는 특정한 요인으로 그 직종 종사자에게 반 발생하는 특정 질환이다.
직업병의 원인으로는 환경 불량으로 인하여 발생하거나 부적당한 노동조건에 의하여 발생하는데 환경 불량으로 발생하는 직업병은 물리적 작업환경에 기인하는 경우, 작업장의 분진에 기인하는 경우, 화학적 원인에 기인하는 경우, 생물학적 요인에 기인하는 경우가 있다. 부적당한 노동조건에 의한 직업병은 작업이 과중되었거나 운동이 부족하거나 불량작업 자세, 작업의 불규칙으로 발병하기도 한다.
직업병으로 인간 건강장애의 종류 또한 많은데 먼저 고온, 고열 환경에 의한 장애에는 열 경련증, 열허탈증, 울열증, 열쇠약증, 열 실신 등이 있다. 저온 작업에 의한 건강장애에는 전신 체온 강하, 참호족, 침수족, 동상이 있다. 불량 조절에 기인하는 장애에는 안정피로, 근시, 안구진탕증이 있으며 이상 기압에 의한 건강장애는 대부분 고기압 환경에서의 건강장애가 문제가 되는데 잠함병이 이에 속한다. 소음에 의한 장애는 소음성 난청을 유발하며 불쾌감과 구면 장애, 대화장애와 능률 저하를 일으킨다. 진동에 의한 장애는 자율신경, 특히 순환기에 크게 나타난다. 방사선에 의한 건강장애는 전리방사선에 의해 야기되는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차폐물을 설치하여야 하고 작업자는 포켓선량계를 휴대하여 피폭량을 산정해야 한다. 또한 혈구산정 방법에 의한 이상 유무 검사가 필요하다. 분진은 무기성 분진과 유기성 분진이 있는데 종류에 따라 유발하는 질환에 차이가 있다. 이 분진에 의하여 발생하는 질환은 진폐증, 규폐증 등이 있다. 석면폐증은 주로 조선소, 절연체 공장 및 건설공사장의 근로자들이 석면에 4~5년 이상 노출될 경우 유발된다. 작업 불량자세에 의한 장애에는 VDT 증후군, 직업성 요통이 있다.
공업중독은 공업계통에서 주로 사용하는 각종의 원료, 제품,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물질로 교체, 기체 및 이이 혼합물에 의해 생기는 건강재를 총칭하는 말이다. 공업 독물의 인체 침입은 호흡기계, 소화기계, 경피 침입으로 나누어지는데 침입 경로에 따라 증상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 대표적인 중독 예로 납중독, 수은 중독, 카드뮴 중독, 크롬중독, 벤젠 중독이 있다.
작업환경의 기본적인 원리는 대치, 격리, 환기로 이 중 한 가지 혹은 복합적으로 적용신다. 직업병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유해 업무에 관한 관리대책은 작업장의 환경개선 및 안전관리 대책을 세워야 하며 작업조건이나 작업 방법을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근로자 보건 대책을 세우고 법적 규제 및 보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출처 - 「공중보건학」-권명진 외17